영화 리뷰 - 말모이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문인들의 활동을 그린 영화 꼭 보고 싶었다.

<조선어학회 사람들의 모습, 가운데 유해진을 중심으로 여러 연기파 배우들의 모습들이 보인다. 조선 사람들이 핍박 받던 그 시절 우리의 말과 글을 지키려고 노력한 사람들, 영화를 보지 않아도 가슴이 뭉클해 지려고 한다.
출처: 다음 영화>

나만 그런 건지 모르겠지만, 일제 강점기 시대에 일제의 만행이 나오는 영화만 보면 분노가 치솟고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를 생각해 보면 마음이 아프다. 실제 조선어학회 사건을 찾아보니 모티브만 따온 것이 맞는 것 같고 영화 상의 인물들은 모두 허구이다. 단 잃어버린 원고를 다시 찾아서 사전을 편찬한다는 내용은 사실이다.

인상적인 장면은 각 단어별로 지역마다 다른 사투리를 모으는 작업을 시작할 때인데, 유해진이 연기한 김판수라는 캐릭터는 자신의 감옥소 인맥들을 동원해 전국 각지의 고향을 둔 사람들을 조선어학회에 데려와 가위, 고추장 등의 단어가 지역마다 어떻게 다른지 한마디씩 하던 장면이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발음 그러나 같은 뜻. 일제 강점기 특히 1940년대는 창씨개명을 하고 처음부터 일본어를 배우기 시작한 조선의 어린 학생과 길거리의 사람들을 볼 때, 정말 우리말 사전을 만드는 작업은 우리의 말과 글을 지키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그걸 잃어버리는 것이 얼마나 안좋은 것인지를 잘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영화 후반부에 김판수가 마지막 까지 도망가다가 원고를 뺐기지 않고 죽음에 이를 때 까지의 장면은 안타까웠다. 원고를 넘기고 살아 남을 수도 있었을 텐데, 그리고 아들과 딸을 더 지켜줄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더 크다. 하지만 원고는 일제에 넘어가지 않고 나중에 발견돼 해방 후 우리말 큰사전이 만들어 지고 윤계상이 연기한 류정환을 통해 판수의 아들과 딸에게 전달된다. 사전 안의 민들레 그림을 보면 계속 눈물만 나오게 된다.

보통 커뮤니티 게시판에 우리나라를 위해 힘쓴 분들의 사진이나 글 밑에는 항상 고맙습니다 라는 댓글이 달린다.
이 영화를 보고 나도 조선어학회 분들에게 우리말과 글을 지켜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 영화 제목 해설
조선어학회는 조선의 말과 글을 연구하고 정리하는 단체로 실존 하는 단체이다. 영화에서는 지역별로 다른 사투리를 모아 표준어를 정하고 사전을 편찬한다는 얘기를 주축으로 이야기가 그려진다.

--- 영화 관람 정보
2019-01-17
롯데시네마 용산

Comments